주식 시장의 정규 거래 시간이 끝난 뒤에도 혹시나 하는 마음에 MTS를 켜본 경험, 다들 있으시죠? '시간외 거래'를 통해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대응하는 투자자분들이 정말 많은데요. 하지만 정규장 거래와 시간외 거래의 수수료 체계가 다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시간외 거래 수수료에 대해 속 시원하게 파헤쳐 보려고 해요.
시간외 거래, 왜 할까요?
시간외 거래는 정규 거래 시간(오전 9시 ~ 오후 3시 30분) 외에 이루어지는 주식 거래를 말해요. 시장 종료 후 갑작스러운 기업 발표나 해외 증시의 영향으로 주가가 크게 변동할 때, 많은 투자자들이 시간외 거래를 활용해 즉각적으로 대응하죠. 특히 단일가 매매는 하루에 한 번만 체결되므로, 다음 날의 시장 흐름을 예측하고 미리 포지션을 잡는 전략적인 수단으로도 사용됩니다.
시간외 거래는 크게 시간외 종가와 시간외 단일가로 나뉘어요. 시간외 종가는 정규장 마감 후 10분간 당일 종가로 거래되는 방식이고, 시간외 단일가는 30분 단위로 매수/매도 주문을 모아 한 번에 체결하는 방식입니다. 거래 방식에 따라 전략이 달라질 수 있으니 꼭 알아두세요!
국내 주요 증권사 시간외 거래 수수료 비교
가장 중요한 부분이죠. 증권사별로 시간외 거래 수수료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실 텐데요. 일반적으로 시간외 거래는 정규장 거래와 동일한 수수료율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증권사는 거래 매체(MTS, HTS 등)나 거래금액에 따라 다른 수수료를 부과하기도 합니다. 아래 표를 통해 주요 증권사의 수수료율을 비교해 볼까요?
주요 증권사 시간외 거래 수수료 (온라인 기준) ??
(※ 최신 정보는 반드시 해당 증권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세요.)
증권사 | 수수료율 (MTS) | 비고 |
---|---|---|
신한투자증권 | 매매금액의 0.1891639% | 거래금액에 관계없이 일률 적용. HTS는 금액별 차등 적용. |
한화투자증권 | 매매금액의 0.15% | MTS 기준. 제휴 채널은 0.015%로 더 저렴한 경우도 있음. |
삼성증권 | 금액별 차등 적용 | MTS/HTS/POP.com/DTS 등 채널별로 상이. 금액이 적을수록 수수료율 높아짐. |
위 표에서 보시다시피 증권사마다 수수료율에 미세한 차이가 있어요. 특히 MTS를 이용한 거래 시에는 거래금액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수수료를 부과하는 곳이 많으니, 소액 거래가 잦은 투자자라면 꼭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시간외 거래, 이것만은 꼭 기억하세요!
- 유동성이 낮다: 정규장 대비 거래량이 적어 원하는 가격에 매수/매도하기 어려울 수 있어요. 큰 금액을 거래할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 수수료율 확인: 대부분 정규장과 같지만, 일부 증권사는 다를 수 있으니 거래 전에 반드시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아요.
- 체결 방식의 이해: 시간외 종가(당일 종가로 고정)와 시간외 단일가(30분 단위)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거래에 임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시간외 거래는 정규장 거래와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만큼 수수료와 유동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현명한 투자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
댓글
댓글 쓰기